본문 바로가기
 

지리산둘레길은 지리산 둘레를 잇는 길에서 만나는, 자연과 마을, 역사와 문화의 의미를 다시 찾아내 잇고 보듬는 길입니다. 한 때는 좌, 우로 나뉘어 낮과 밤을 달리 살아야 했던 아픈 상처도 지리산 길은 품고 있습니다. 5개의 시군을 이어주는 모든 길이 열렸고, 다양한 코스 중 오늘은 성심원-어천-운리 코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
 

지리산 둘레길 성심원-아침재-웅석봉헬기장-점촌마을-탑동마을-운리 코스 소개-2

목차

     

    지리산 둘레길

    2000년 시작된 ‘지리산마음으로 세상을 배우자’ 지리산공부모임과 실천방향을 그림으로 담은 생명평화 무늬. 지리산 둘레를 걷다 보면 생명을 지닌 모든 것들이 홀로 존재할 수 없다는 단순 소박함을 깨우치게 됩니다. 그대 없이 내가 있을 수 없다는 지리산의 가르침은 시대를 넘는 진리입니다.

     

    성심원-어천-운리 코스

    지리산 둘레길 성심원-아침재-웅석봉헬기장-점촌마을-탑동마을-운리 코스 소개-3

    구간별 경유지

     

    성심원-운리 구간 경유지
    성심원 – 아침재(2.3km) – 웅석봉하부헬기장(2.5km) – 점촌마을(6.4km) – 탑동마을(1.5km) – 운리마을(0.7km)

    성심원-운리 구간 순환 경유지
    성심원 – 어천마을(3.4km) – 아침재(1.6km) – 성심원(2.3km)

    주요 경유지

    지리산 둘레길 성심원-아침재-웅석봉헬기장-점촌마을-탑동마을-운리 코스 소개-4

     

     

    1. 어천마을


    예전에 어리내라 하고 우천(愚川)으로 부르다가 어천(漁川)이 되었다. 성심원에서 시작되는 아침재나 경호강 레프팅 하선장 길 모두 어천마을로 이어진다.

    지리산 둘레길 성심원-아침재-웅석봉헬기장-점촌마을-탑동마을-운리 코스 소개-5

     

     

    2. 점촌마을


    헬기장에서 임도를 따라 내려오는 길에 점촌마을을 만난다.

    지리산 둘레길 성심원-아침재-웅석봉헬기장-점촌마을-탑동마을-운리 코스 소개-6

     

     

    3. 정당매


    운리 탑동마을 단속사 터에는 ‘정당매(政堂梅)’라고 불리는 매화나무가 한 그루 자라고 있다. 백매화를 피우는 고매(古梅) ‘정당매’는 현존 한국 최고(最古)의 매화 중의 하나이다. 매년 3월이 되면 고결하고도 은은한 향기를 절터 가득 흩뿌리는 정당매는 수령 640년, 나무 높이 3.5m이다. 4개의 줄기 중 3개의 줄기는 고사하였고 남은 1개의 줄기에서 매화 꽃망울이 맺힌다. 2014년 현재 안타갑게도 정당매는 고사되었으나 주변에 다른 매화나무가 크고 있다.

    지리산 둘레길 성심원-아침재-웅석봉헬기장-점촌마을-탑동마을-운리 코스 소개-7

     

     

    4. 단속사지


    단속사가 있던 자리에는 민가가 있고 민가 앞에 보물로 지정된 삼층 석탑 2기가 남아서 옛 영화를 전해 준다. 둘레길 여행의 재미를 더하려면 단속사지도 둘러보고 마을의 역사에 대해 공부해 보자.

    지리산 둘레길 성심원-아침재-웅석봉헬기장-점촌마을-탑동마을-운리 코스 소개-8

     

     

    5. 운리마을


    운리(雲里)는 탑동, 본동, 원정 등 3개 동네를 말한다. 지리산둘레길은 탑동과 원정마을을 만난다.